윤종빈 감독의 영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2012)’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한국 사회를 뒤흔들었던 조직폭력배와 부패 권력의 유착 관계를 그린 작품이다. ‘조직 폭력’이라는 소재를 전면에 내세우지만, 영화는 그 이면에 있는 인간의 욕망, 권력, 생존을 예리하게 파고든다. 최민식, 하정우 등 배우들의 강렬한 연기와, 시대의 공기를 담아낸 디테일한 연출은 단순한 범죄 드라마를 넘어, 한국 사회의 축소판을 스크린 위에 그려낸다. 2010년대 한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 작품은, 우리가 외면했던 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만든다.
‘공무원’과 ‘조직폭력배’, 그들의 공통분모는 무엇인가
1982년 부산. 세관 공무원 최익현(최민식)은 뒷돈 챙기기를 일삼으며 적당히 처세하며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가 평소 하던 관행이 문제가 되며 내부 조사를 받게 되자, 그는 살아남기 위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조폭 출신의 최형배(하정우)에게 접근한다. “우리 사돈이요”라는 말로 형배와의 관계를 만들어내고, 그 후 그는 범죄 조직의 회계와 정치 브로커로 변모해 간다. 익현은 악인이 아니다. 하지만 그는 분명 ‘나쁜놈들’의 일원으로 변해 간다. 그리고 영화는 그 변화를 통해, 권력과 범죄가 어떻게 맞물리고 또 어떤 인간형을 탄생시키는지를 보여준다. 즉, 범죄는 비단 조폭만의 영역이 아니며, 권력의 언저리에 머무는 이들 또한 그 판 위에 올라서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범죄와의 전쟁’은 단지 조폭 영화가 아니다. 오히려 권력의 속성, 인간의 처세, 관계망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들의 민낯을 파헤친다. 당시 한국 사회에 만연한 부정부패, 비리, 권언유착, 검경유착이 어떻게 일상화되었는지를, 실감 나는 사투리와 시대적 분위기로 그려낸다. 윤종빈 감독은 역사적 사실을 정교하게 포장하지 않고, 날것 그대로의 리얼리즘으로 표현하며, 관객을 당시의 혼탁한 현실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리고 최민식은 그런 혼란의 중심에서, 찌질하지만 어딘가 미워할 수 없는 캐릭터를 완벽히 구현해낸다. 그는 범죄자이면서 동시에, 그저 생존하려는 소시민의 얼굴도 지녔다. 이 양면성은 곧 영화 전체의 기조와도 맞닿는다. 악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누구나 상황에 따라 ‘나쁜놈’이 될 수 있다.
진짜 나쁜놈은 누구인가 – 생존의 논리와 권력의 생태계
익현은 점점 더 깊이 조직 사회의 중심으로 들어간다. 처음에는 단지 ‘아는 사이라니까요’로 시작했던 관계는, 이제 조직의 돈과 정치인 라인까지 연결된다. 그는 형배와 함께 권력자들과 술자리를 같이 하고, 뒤에서 판을 설계하는 브로커가 된다. 문제는 그가 더 이상 되돌아갈 수 없는 곳까지 간다는 점이다. 법과의 경계는 희미해지고, 그는 자신도 모르게 ‘조폭보다 더 조폭 같은 공무원’이 되어간다. 형배 역시 복잡한 인물이다. 그는 전형적인 조직의 보스지만, 익현과의 관계 속에서 단순한 폭력 이상의 복잡한 인간 심리를 보여준다. 그들은 권력의 사다리를 함께 오르지만, 결국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고 무너진다. ‘배신’과 ‘이익’이 모든 관계의 중심이 되는 세계에서, 진정한 우정이나 의리는 설 자리가 없다. 영화는 여기서 묻는다. 누가 더 나쁜놈인가? 법의 보호를 받으며 뒤로 부정을 저지르는 공무원인가, 아니면 노골적으로 범죄를 저지르지만 그것이 생존 방식이 된 조폭인가? 이 질문은 단순히 영화 속 인물들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짚는다. 영화 후반부, ‘범죄와의 전쟁’이라는 말이 정부의 구호로 등장하면서 분위기는 급반전된다. 이제 그동안 유착했던 권력과 조직은, 서로를 버리고 끊어내기 시작한다. 익현은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정리’되어야 할 존재가 된다. 그리고 그는 체포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죄 없다’며 오히려 당당한 태도를 보인다. 이것은 그가 이미 자신의 행위를 죄로 여기지 않을 만큼 구조에 깊이 젖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윤종빈 감독은 이 모든 과정을 통해 권력의 생태계를 보여준다. 그것은 누군가의 영웅담도, 단죄의 서사도 아니다. 오히려 누가 더 유연하게 처세하느냐, 누가 더 잔인하게 살아남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그리고 그 생태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을지 모른다.
‘우리는 모두 판 위에 있다’는 씁쓸한 자각
‘범죄와의 전쟁’은 단지 한 남자의 몰락기를 그린 범죄물이 아니다. 이 영화는 대한민국 사회의 특정 시기를 조망하며, 그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손을 더럽히는 사람들의 현실을 그린 사회적 우화다. 그리고 그 현실은 결코 과거형이 아니다. 익현은 결국 모든 것을 잃는다. 가족에게도 외면받고, 조직에게도 버림받는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자신이 잘못한 게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가 살아온 방식은 모두 사회가 용인해온 것이기 때문이다. ‘눈치 보고 처세하고 라인 타고 술 따르는’ 삶은, 비단 그 시대의 부산만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궁극적으로 묻는다. ‘정의란 무엇인가?’ ‘법은 누구에게 공정한가?’ 그리고 ‘우리는 이 구조 속에서 자유로운가?’ 그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있는 관객은 없을 것이다. ‘범죄와의 전쟁’은 그래서 오래 남는다. 묵직한 여운과 함께, 우리 모두가 어느새 그 판 위에 있음을 자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말한다. “세상은 그렇게 만만한 데가 아니더라.” 그 말이 유쾌하면서도, 참 씁쓸하게 가슴에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