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홍진 감독의 2016년작 영화 '곡성'은 미스터리, 스릴러, 오컬트가 뒤섞인 복합장르 영화로, 단순한 사건의 연쇄로 보였던 마을의 기이한 현상들이 점차 인간 내면의 믿음과 공포, 그리고 악의 실체를 묻는 철학적인 질문으로 확장되는 작품입니다. 배우 곽도원, 황정민, 쿠니무라 준 등이 펼치는 강렬한 연기와 함께, 이 영화는 관객에게 끊임없는 해석을 요구하며 수많은 상징과 복선을 통해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본 리뷰에서는 영화의 줄거리 요약을 넘어, 인물 간의 상징성과 감독의 의도, 종교적 상징, 그리고 궁극적으로 '믿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초자연과 현실 사이, ‘곡성’이 던지는 질문
2016년 개봉한 영화 ‘곡성(哭聲)’은 단순히 기괴한 연쇄살인 사건을 다룬 미스터리 스릴러로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인간의 본성과 신념,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탐구로 진화하는 매우 독특한 작품입니다. 나홍진 감독 특유의 긴장감 있는 연출과 음산한 분위기, 그리고 예측 불가능한 전개는 관객을 처음부터 끝까지 몰입시키며, 한 번 본 것만으로는 모든 메시지를 파악하기 어려울 만큼 복합적인 해석을 유도합니다. 이 영화의 배경은 한국의 가상의 시골 마을 ‘곡성’으로, 어느 날부터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집단 발작과 살인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이 일련의 현상들은 외부에서 온 ‘일본인’이라는 존재와 연결되며, 주민들의 불안감과 공포는 점차 증폭되어 가고, 마침내 이는 ‘악령’ 혹은 ‘귀신’이라는 존재로 인식되기에 이릅니다. 주인공 종구(곽도원 분)는 사건의 중심에 있는 경찰로서 점차 자신의 가족까지 이 일에 휘말리게 되자 광기의 중심으로 끌려들어갑니다. 영화는 단순한 해결과 진실 찾기를 넘어, 관객이 끊임없이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이 현상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되묻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 작품이 기존 한국 영화와 차별화되는 점은, ‘믿음’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서사 전체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무속신앙, 기독교, 샤머니즘 등의 요소가 혼재된 극 중 종교적 상징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악이 실체인가, 믿음의 결핍이 만들어낸 허상인가를 두고 영화는 어떤 결론도 쉽게 내리지 않으며, 이로 인해 관객은 더욱 혼란스럽고 동시에 흥미롭게 극을 따라가게 됩니다.
해석이 끝나지 않는 영화: 종교, 악, 인간
‘곡성’의 가장 큰 특징은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사건의 배후에 누가 있는지, 진짜 악은 누구인지, 누구의 말이 옳은지에 대한 명쾌한 결말이 없습니다. 이 모호함은 관객 개개인이 자신만의 관점과 믿음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해석하게 만들며, 바로 그 지점에서 이 영화는 전형적인 서사 구조를 벗어난 예술적 독립성을 가집니다. 영화 속에는 상징적인 캐릭터들이 여럿 등장합니다. 일본인은 타지에서 온 불가해한 존재로 그려지며, 그에 대한 공포는 단순한 외부인의 두려움을 넘어선 ‘절대 악’의 구현체로 읽힐 여지를 남깁니다. 무속인 일광(황정민 분)은 전통적 신앙 체계를 대표하며, 그가 벌이는 굿 장면은 이 영화에서 가장 극적이며 동시에 불편한 긴장을 유발하는 장면 중 하나입니다. 또한, 딸 효진의 병세가 깊어질수록 종구는 과학적 추리나 논리적 판단보다는 무속과 종교적 의지에 점차 기대게 되며, 결국 그 믿음이 어떠한 결과를 불러오는지가 영화의 핵심 갈등으로 발전합니다. 여기에 나중에 등장하는 ‘하얀 옷을 입은 여자’는 또 다른 믿음의 대척점에 서 있는 인물로, 그녀의 정체를 놓고도 수많은 해석이 분분합니다. 어떤 이는 그녀를 ‘천사’로, 또 어떤 이는 ‘유혹자’ 혹은 ‘시험자’로 보며, 결국 관객이 어느 쪽을 믿는가에 따라 영화의 결말도 달리 느껴집니다. 이처럼 ‘곡성’은 종교적 메타포가 복잡하게 얽힌 영화로, ‘악의 실체란 무엇인가’, ‘인간은 두려움 앞에서 어떻게 믿음을 선택하는가’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집니다. 감독은 특정 종교나 입장을 옹호하지 않고, 오히려 모든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영화 자체를 하나의 ‘믿음에 대한 시험’으로 만들었습니다.
믿음의 불확실성과 관객의 선택
‘곡성’은 전형적인 엔터테인먼트 영화가 아닙니다. 이 작품은 오히려 관객에게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는 실험적 영화에 가깝습니다. 이야기를 따라가며 긴장감과 공포를 느끼지만, 극이 끝난 후에도 쉽게 결론지을 수 없는 찝찝함과 해석의 여지를 남기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곡성’은 한국 영화사에서 보기 드문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점은, 이 영화가 “무엇을 믿을 것인가”가 아닌 “믿음 자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영화 속 종구는 믿음의 대상이 누구인지도 모른 채, 두려움과 불안 속에서 결정을 내려야 했고, 그 결정은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을 초래합니다. 이는 곧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적용 가능한 메시지입니다. 정확한 정보 없이 쏟아지는 자극 속에서 인간은 어떤 믿음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가. ‘곡성’은 이 질문을 잔혹하고도 냉정하게 보여줍니다. 또한, 이 영화는 단지 해석 게임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섬뜩한 장면, 무속 의례의 리얼리티, 조용한 시골 마을을 뒤덮는 공포의 확산 등 시각적·감정적으로도 매우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단 한 장면도 쉽게 흘려보낼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종구의 눈에 맺힌 눈물과,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절망은 이 영화가 단지 귀신 이야기나 괴담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불안과 맞닿아 있음을 말해줍니다. 결국 ‘곡성’은 믿음, 불확실성, 악의 실체라는 철학적 주제를 통해 관객 스스로 질문을 안고 극장을 나서게 만드는 진정한 문제적 영화라 할 수 있습니다.